2022. 6. 23. 23:41ㆍ채권 투자, 주식, 포트폴리오 전망
투자안의 평가(단순 누적수익률, IRR) 개념 이해하기
투자안의 투자안의 평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투자안의 평가에서 우리가 살펴볼 내용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투자안입니다. 다양한 투자안이라고 했을 때는 투자기간이 투자안마다 다를 수도 있고, 각 투자안에 따라서 미래에 발생하는 현금흐름이 상당히 불규칙적일 수도 있고, 거기에 적용되는 여러 가지 이자율의 적용 방식이라든지 이러한 부분들이 상당히 다른 여러 투자안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죠. 우리가 이런 여러 투자안들을 어떻게 평가할까요? 결국 평가라고 하는 것은 여러 투자안들을 우리가 객관적으로 잘 비교를 해서 가장 최선의 투자안이 무엇 일지를 찾아내는 것이죠. 그래서 이렇게 여러 가지 다른 특성들을 가지고 있는 투자안들을 평가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는지, 특성이 다른 투자안들을 평가할 때 어떤 평가요소를 적용해야 되는지 그런 부분들을 살펴보는 내용이 되겠습니다.
단순 누적수익률
사실 수익률이라는 개념은 우리가 이미 한번 언급을 했던 적이 있습니다. 수익률은 어떤 수익이 그 수익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내가 투자한 투자원금이 있었을 것이고 투자한 원금에 대해서 발생한 수익의 비율이 수익률이라고 살펴본 적이 있었습니다. 여기에 지금 단순 누적수익률이라는 개념으로 다시 등장을 했지만 여기에서의 단순 누적수익률이라는 것은 결국 우리가 이전에 공부했던 수익률과 동일한 개념이 되겠습니다. 영어로는 rate of return이라고 해서 ROR이라고 수익률을 쓸 수가 있는데요. 사실 재무나 금융에서는 수익률이라는 것이 상당히 많은 의미로써 사용이 되기 때문에 그때그때 수익률들의 의미를 구분할 수가 있어야 하겠습니다. 여기서 ROR이라고 하는 것은 우리가 어떻게 정의를 하는 것이며, 우리가 이외에 다른 어떤 투자안을 이야기 할 때에 거기에 적용되는 여러 가지 수익률이라는 개념을 또 사용하게 될 텐데, 그런 수익률들이 또 과연 어떤 의미인지를 잘 구분해서 정리를 해둬야 되겠습니다. 먼저 ROR,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이는 수익률의 의미, 단순 누적수익률이죠, 그 수익률의 의미는 투자가 이루어지는 기간을 고려했을 때 투자 기간 동안에 누적적으로 얻어진 수익률이 얼만가 하는 것입니다. 아무튼 단순 누적수익률이라는 개념은 여기서 보시는 것처럼 일정기간이 경과했을 때에 발생하는 수익, 여기서 일정기간이라는 것은 2년이라는 기간이고, 발생한 수익은 결국 20만 원이죠, 그 20만 원, 그리고 투자한 원금이 100만 원이기 때문에 우리가 반드시 2년 동안에 20%의 수익률을 발생했다 이렇게 얘기를 해야겠습니다. 이것이 2년이라는 기간 동안에 누적으로 얻어진 단순한 수익률이란 뜻이죠. 이렇게 단순 누적 수익률을 구하게 되면 투자마다 결국 경과된 기간이 얼마냐, 여기서 예제에서는 2년이었지만 또 다른 투자안에서는 또 3년 4년 기간이 다를 수가 있는 것이죠. 그리고 물론 다른 어떤 금액이 얻어졌을 수도 있고요. 우리가 단순 누적수익률이라는 것을 쉽게 계산할 수 있지만 어떤 투자안 같으면 그 투자안이 각 시점마다 일정한 금액 또는 서로 다른 금액이 수익으로 얻어질 수도 있는 것이죠.
내부 수익률
그 다음 우리가 살펴볼 수익률의 개념은 내부 수익률이라는 개념입니다. 내부수익률이라는 것은 Internal Rate of Return, IRR이라고도 합니다. IRR이라고 하는 것이 무슨 의미냐 하면 지금 1년째 말에 발생하는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평가해주고, 그다음에 2년째 말에 발생하는 150만 원 역시 오늘 현재의 가치로서 평가해서 이것을 각각 더해주었을 때 오늘 현재의 100만 원과 같아지게끔 하는 그러한 d를 우리가 찾을 수가 있을 겁니다. 이 d라고 하는 것이 바로 IRR입니다. 그래서 IRR이라는 개념을 다시 한번 이 예제를 통해 정리를 해보면 우리가 투자한 어떤 원금이 100만 원이었을 때 미래에 투자로써 발생하는 그러한 각 시점마다의 현금흐름이 여기서처럼 50만 원이라는 게 있겠죠. 이렇게 서로 다른 기간에 서로 다른 현금흐름이 투자로써 주어진다 하더라도 이각각의 현금흐름들을 이 IRR을 적용해서 할인을 해주면 그 현재가치의 합계가 투자원금이 되는 것이죠. 이렇게 투자원금과 같아지게끔 하는 할인율이 바로 IRR이 되겠습니다. 그럼 이러한 투자안에서 d라고 하는 것을 구할 수가 있고, 이 d라는 것을 이 투자안의 투자안의 수익률이라고 생각해 볼 수가 있겠죠. 그래서 이 수익률을 IRR이라고 정의하고 내부수익률이라는 것을 통해서 어떤 투자안의 투자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IRR이라고 하는 것을 구해보면 다양한 현금흐름을 갖는 투자안들에 대해서 비교 가능성이 있는 어떤 수익률로 나타나게 됩니다. 내부수익률이라는 개념으로 우리가 수익률을 평가할 수가 있고 이렇게 구한 내부수익률이라고 하는 것은 그것이 어떤 기간에 어떤 현금흐름이 됐든지 일정한 단위 기간의 수익률로써 나타나는 것입니다.
'채권 투자, 주식, 포트폴리오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트폴리오 평가 기준 (0) | 2022.06.29 |
---|---|
포트폴리오 이론의 내용과 의미 (0) | 2022.06.24 |
순 현재가치와 유효 이자율의 개념 알아보기 (0) | 2022.06.23 |
기대 효용 이론 (0) | 2022.06.23 |
현재 가치와 미래 가치 비교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