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률 곡선(3)
-
이자율의 기간 구조에 관한 이론
이자율의 기간 구조에 관한 이론 수익률 곡선 그리고 수익률 곡선을 통해서 우리가 알 수 있는 이자율의 기간 구조가 왜 이리 중요하냐 하는 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런 이자율의 기간 구조를 알게 되면 어떤 채권 시장의 종합적인 정보를 이해할 수가 있고 다양한 만기를 갖는 자금 거래 또는 어떤 채권에 대한 투자에 대해서 적용되어야 될 수익률들의 수준을 우리가 알 수가 있습니다. 때문에 여러 가지 채권 투자와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데 상당히 유용한 정보가 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가장 보편적인 수익률 곡선의 형태가 다소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우상향 하는 것이라고 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가 단기와 중기 장기 대략 이렇게 만기를 3가지 기간으로 구분을 해볼 수 있습니다. 단기는 아무래도 유동성..
2022.06.21 -
수익률 곡선의 정형화된 사실을 위한 3가지 가설
수익률 곡선의 정형화된 사실을 위한 3가지 가설 이러한 정형화가 된 사실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보통 3가지 가설들이 제시가 되고 있는데 그 가설들을 이제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가 기대가설입니다. 기대가설은 각각의 단기 중기 장기 이러한 채권 시장들이 서로 연관성이 상당히 크다, 그래서 서로 시장들간에 영향을 많이 서로 주고 받는다 라는 기본적인 가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기대가설에서는 장기 채권에 적용되는 수익률은 여러 단기 시장에서 형성되는 수익률들의 어떤 평균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만약에 지금 현재 어떤 단기의 수익률이 일정하게 낮은 수준에서 만약에 형성이 되고 있다면 사람들은 앞으로의 수익률에 대해서는 좀 높아질 것으로 기대를 하고 그러면 그렇게 앞으로의 미래에 대해서 높..
2022.06.20 -
수익률 곡선의 정형화된 사실 정리
수익률 곡선의 정형화된 사실 정리 몇 가지 정형화된 사실을 한 가지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정형화된 사실은 서로 다른 만기라 하더라도 수익률은 동조화 현상을 보인다라는 것입니다. 수익률 곡선은 기본적으로 가로축을 다양한 만기로 그리고 세로축을 수익률로 하는데 만기에 따라서 거기에 대응하는 수익률을 우리가 볼 수가 있는 것이죠. 그러면 이 수익률은 결국 만기에 따라서 결국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인데 이것이 시간에 따라서 수익률은 변화할 수 있고 그리고 그 변화하는 방향이 동조화 현상을 갖는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서 단기의 수익률이 증가하면 중기나 장기의 수익률도 역시 같은 방향으로 증가하는 그러한 패턴을 갖는다라는 것이고요. 만약에 단기의 수익률이 낮아지면 중기나 장기도 역시 같은 방향으로 변화하..
2022.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