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률 곡선의 정형화된 사실을 위한 3가지 가설

2022. 6. 20. 18:42채권 투자, 주식, 포트폴리오 전망

수익률 곡선의 정형화된 사실을 위한 3가지 가설

수익률 고선의 정형화된 사실을 위한 3가지 가설
수익률 고선의 정형화된 사실을 위한 3가지 가설

이러한 정형화가 된 사실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보통 3가지 가설들이 제시가 되고 있는데 그 가설들을 이제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가 기대가설입니다. 기대가설은 각각의 단기 중기 장기 이러한 채권 시장들이 서로 연관성이 상당히 크다, 그래서 서로 시장들간에 영향을 많이 서로 주고 받는다 라는 기본적인 가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기대가설에서는 장기 채권에 적용되는 수익률은 여러 단기 시장에서 형성되는 수익률들의 어떤 평균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만약에 지금 현재 어떤 단기의 수익률이 일정하게 낮은 수준에서 만약에 형성이 되고 있다면 사람들은 앞으로의 수익률에 대해서는 좀 높아질 것으로 기대를 하고 그러면 그렇게 앞으로의 미래에 대해서 높아질 것으로 예측을 하는 것이 장기로 반영된 결과로 이자율이 상승한다는 것이죠. 이게 기대가설에서 우상향하는 패턴을 갖는 수익률 곡선이 도출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는 과정이 되겠습니다. 반대로 현재 수익률이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면 사람들은 앞으로 가까운 미래에 이러한 이자율 또는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다 라고 기대를 할 수 있다라는 것이죠. 그러면 이렇게 현재와 또는 가까운 미래에 대해서 갖는 수익률 또는 이자율에 대한 기대가 평균적으로 반영된 결과, 장기 수익률 또는 장기 이자율이 형성이 될 텐데 그것은 평균적으로 반영된다고 보니까 현재 높은 수익률 보다는 낮아질 수 있다라는 것이죠. 선도이자율을 공부하면서 2년 동안을 투자하는 과정에 있어서 첫 번째는 2년 만기에 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있었고 또 하나는 1년씩 나누어서, 1년은 2년에 비하면 단기죠, 그렇게 1년씩 나누어서 투자하는 것을 우리가 살펴봤는데 그러면 1년에 대해서 투자하고 2년째 적용되는 수익률, 그리고 또는 2년째 적용되는 이자율을 사람들이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죠. 그런데 그 때 기대라고 하는 것이 결국 2년 동안에 적용되는 장기 수익률, 장기 이자율과 비교를 했을 때 이는 오늘 1년과 또 다른 미래의 1년에 평균적인 이자율 또는 수익률이 될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런 기대가설에서는 오늘 1년과 또는 미래의 1년의 이자율 수익률들이 평균적으로 반영된 것이 2년 동안의 수익률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기대가설에서는 우상향하거나 또는 우하향하는 이런 수익률의 패턴을 설명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것을 설명할 수는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익률이 만기에 따라 상향한다는 것은 완전히 만족스럽게 설명하지는 못하고 있죠. 그래서 등장한 것이 시장분리가설입니다.

시장분리가설

시장분리가설은 기대가설과는 다르게 각각의 시장은 좀 분리되어 있고 예를 들어서 단기 채권 시장, 중기 채권 시장, 장기 채권 시장은 그 각각의 시장 특성들을 달리 하고 분리가 되어 있어서 각각의 시장간에 상호영향을 주고 받는 것이 이제 거의 미미하다 라고 보는 것이죠. 그래서 이런 분리된 시장에서는 각각의 시장의 특성에 따라서 수익률이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가 단기 시장을 보면 유동성이 중기나 장기에 비해서 더 높다고 볼 수가 있고요. 그리고 위험의 측면에서도 위험에 노출되는 기간이 짧기 때문에 아무래도 중기나 장기로 갈수록 불리한 부분에 대해서 요구하는 수익률이 당연히 높아질 수가 있겠죠. 유동성의 제약도 받고 위험에 노출되는 기간도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 대해서는 많은 투자자들이 더 많은 수익률들을 요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이러한 내용들을 우리가 살펴보았을 때 당연히 단기 중기 장기의 시장들의 수익률을 비교해본다면 단기에서 중기로 갈수록, 중기에서 장기로 갈수록 수익률이 높아지는 것이 당연하겠죠. 그러면 이러한 시장분리가설은 아까 우리가 제시했던 시장의 수익률 곡선의 정형화된 패턴의 3번째를 아주 만족스럽게 설명해줄 수는 있죠. 하지만 오히려 이런 것을 만족스럽게 설명해줄 수는 있는 반면에 오히려 시장 수익률 곡선에서 수익률 곡선이 우하향할 수 있는 것은 설명하는데 좀 미흡한 측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것을 절충해서 등장한 이론 가설이 유동성가설이 되겠습니다.

유동성가설

유동성가설은 기대가설과 시장분리가설을 절충해서 만든 것인데 기대가설에서처럼 시장은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관계에 있다라는 것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이런 유동성이라는 것을 사람들이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아무래도 단기 시장은 유동성이 크고 중기, 장기는 거기에 비해서 유동성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유동성 제약에 따른 프리미엄, 유동성 제약에 따른 추가적인 보상을 요구함으로써 수익률이 일반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라는 것이죠. 그래서 이 유동성가설은 설명드린대로 기대가설과 시장분리가설의 장점들을 취해서 정형화된 사실들을 보다 만족스럽게 설명할 수 있는 가설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