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률 곡선의 정형화된 사실 정리

2022. 6. 20. 11:27채권 투자, 주식, 포트폴리오 전망

수익률 곡선의 정형화된 사실 정리

수익률 곡선의 정형화된 사실 정리
수익률 곡선의 정형화된 사실 정리

몇 가지 정형화된 사실을 한 가지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정형화된 사실은 서로 다른 만기라 하더라도 수익률은 동조화 현상을 보인다라는 것입니다. 수익률 곡선은 기본적으로 가로축을 다양한 만기로 그리고 세로축을 수익률로 하는데 만기에 따라서 거기에 대응하는 수익률을 우리가 볼 수가 있는 것이죠. 그러면 이 수익률은 결국 만기에 따라서 결국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인데 이것이 시간에 따라서 수익률은 변화할 수 있고 그리고 그 변화하는 방향이 동조화 현상을 갖는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서 단기의 수익률이 증가하면 중기나 장기의 수익률도 역시 같은 방향으로 증가하는 그러한 패턴을 갖는다라는 것이고요. 만약에 단기의 수익률이 낮아지면 중기나 장기도 역시 같은 방향으로 변화하니까 역시 그러한 동조화 현상을 갖는다 라는 것입니다. 이건 어떻게 보면 각 시장이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어서 단기가 낮아지면 중기나 장기도 그에 영향을 받는 관계를 한번 생각해볼 수 있는 것입니다.

수익률 곡선에서 단기 수익률이 아주 낮은 상황

두 번째 정형화된 사실은 수익률 곡선에서 단기 수익률이 아주 낮은 상황에서는 그 수익률 곡선이 우상향하게 되고, 반대로 단기의 수익률이 상당히 높을 때에는 우하향한 가능성이 있다 라는 것입니다. 수익률 곡선이 기본적으로 다양한 만기에 대해서 거기에 대응되는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것은 물론 우상향 하는 것이라고 말씀을 드렸었죠. 하지만 지금 예를 들어서 단기적인 수익률이 상당히 높은 상황이라고 한다면 아까도 말씀드린 것처럼 경제 상황이 신용경색이라든가 경제가 상당히 침체상태에 있어서 수익률이 단기적으로 상당히 높게 형성이 되어있을 때 그러면 과연 이러한 높은 단기 수익률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사람들이 예측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지금 단기 수익률이 보통 때와 다르게 상당히 높다라는 것은 어떻게 보면 정상 상태의 어떤 수익률이라고 보기 어렵고, 그러면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앞으로 미래의 단기 수익률은 좀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을 하게 되죠. 그러면 이러한 예측들이 반영이 되어서 현재 단기 수익률이 매우 높지만 오히려 중기나 또는 장기는 이러한 미래의 단기 수익률 예측을 반영해서 오히려 지금 현재의 높게 형성된 단기 수익률보다는 낮아질 수가 있다 라는 것이죠. 그래서 이런 경우 단기 수익률이 상당히 높을 때 우하향할 가능성도 있다 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것은 수익률 곡선이 일반적으로 단기 수익률이 현재 아주 낮다면 우상향 할 수 있고 단기 수익률이 아주 높다면 우하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라는 것으로 이해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수익률 곡선의 정형화된 특징

그리고 세 번째 정형화된 특징, 사실은 수익률 곡선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우상향하는 패턴을 갖는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관찰을 해보면 어느 시점에서나 수익률 곡선을 도출해보면 그것이 대체로 우상향 하는 패턴을 갖는다라는 사실을 얘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설이나 이론으로써 이러한 정형화된 사실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