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1)
-
포트폴리오 평가 기준
포트폴리오 평가 기준 포트폴리오 평가 기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포트폴리오라고 하는 것은 여러 가지 다양한 자산으로 구성된 집합체, 다양한 자산의 목록이라고 이렇게 말씀을 드렸고요. 그러니까 어떤 투자자가 하나가 아닌 여러 자산에 투자 비중을 나누어서 투자를 한다는 것이죠. 우리가 앞으로 포트폴리오를 평가를 해볼 텐데, 어떤 기준에서 포트폴리오 평가할 것인가 했을 때 두 가지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첫 번째로는 수익성이라는 기준을 가질 거고요. 그다음에 두 번째로는 위험성에 대한 기준을 가질 건데, 수익성이라고 하는 것은 포트폴리오가 가지는 수익률의 기댓값 즉, 기대수익률이죠. 그것을 수익성으로 측정을 하고요. 그다음에 위험은 수익률이 확률변수이다 보니까 그러한 수익률이 얼마나 많은 변동성을 갖..
2022.06.29 -
포트폴리오 이론의 내용과 의미
포트폴리오 이론의 내용과 의미 포트폴리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포트폴리오는 자료수집철, 자료가방이라는 단어로 쓰입니다. 재무에서는 포토폴리오를 보통 여러 가지 다양한 자산으로 구성된 어떤 집합체, 또는 다양한 자산의 목록 정도로 생각을 해볼 수가 있겠습니다. 결국 이 포트폴리오 라고 하는 것은 여러 다양한 자산으로 구성된 어떤 그 집합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어떤 투자자금을 각각 n개의 자산에 분산해서 투자를 했다고 보고, 각각 자산에 투자한 비중 또는 각각 자산의 배분된 비중이 있을 것입니다. 포트폴리오 이론이라는 것은 투자자가 목적을 가지고 투자를 하려고 하는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가장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선택할 수 있는지 그에 관한 계량적 분석적인 이론 체계를 의미합니다..
2022.06.24 -
투자안의 평가(단순 누적수익률, IRR) 개념 이해하기
투자안의 평가(단순 누적수익률, IRR) 개념 이해하기 투자안의 투자안의 평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투자안의 평가에서 우리가 살펴볼 내용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투자안입니다. 다양한 투자안이라고 했을 때는 투자기간이 투자안마다 다를 수도 있고, 각 투자안에 따라서 미래에 발생하는 현금흐름이 상당히 불규칙적일 수도 있고, 거기에 적용되는 여러 가지 이자율의 적용 방식이라든지 이러한 부분들이 상당히 다른 여러 투자안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죠. 우리가 이런 여러 투자안들을 어떻게 평가할까요? 결국 평가라고 하는 것은 여러 투자안들을 우리가 객관적으로 잘 비교를 해서 가장 최선의 투자안이 무엇 일지를 찾아내는 것이죠. 그래서 이렇게 여러 가지 다른 특성들을 가지고 있는 투자안들을 평가하려면 어떻게..
2022.06.23 -
순 현재가치와 유효 이자율의 개념 알아보기
순 현재가치와 유효 이자율의 개념 알아보기 순 현재가치라는 개념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순 현재가치라고 하는 것은 영어로 Net Present Value, NPV라고 하는데요. 어떤 경우에 순 현재 가치라는 개념을 적용하게 될까요? 어떤 투자 안이 있는데, 그 투자 안으로 인해서 일정한 투자기간 동안 매 시점마다 투자에 따른 현금유입이 발생할 수도 있고요. 그 투자에 따라서 현금유출이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투자기간이 진행되는 동안에 현금의 유입과 현금의 유출이 서로 다른 시점에 걸쳐서 발생하게 되면 투자 안을 과연 어떻게 평가해줄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기게 되죠. 이럴 때 우리가 적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순 현재가치라는 개념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순 현재가치라는..
2022.06.23 -
기대 효용 이론
기대 효용 이론 기대 효용 이론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확률적인 기대 가치는 기댓값, 그리고 평균의 개념이었습니다. 여기서는 우리가 기대 효용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게 되는데 기대 효용이라는 것은 뭐냐면 아까 우리가 화폐의 효용함수를 도입을 했었고, 그 화폐의 효용함수에 따라서 화폐 금액에 대해서 일정한 효용 수준을 산출할 수가 있겠죠. 그러한 효용 수준이 확률적으로 결정된다면, 효용의 기댓값이 바로 기대 효용이 되겠습니다. 기대 효용은 그 기대 가치 NPV의 기대 가치가 아니라 NPV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그러한 화폐가치를 효용함수에 대입을 해서 나오는 효용 수준을 다시 기댓값으로 계산한 것입니다. 그래서 이 NPV의 효용함수를 우리가 계산을 해서 그 효용함수의 기대 가치를 구하는 것입니..
2022.06.23 -
현재 가치와 미래 가치 비교
현재 가치와 미래 가치 비교 현재가치와 미래가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같은 크기의 명목금액이라도 주어진 시점에 따라서 가치가 다릅니다. 오늘의 100만 원과 1년 후의 100만 원이라는 것은 명목적으로 크기가 같을지라도 그 시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화폐가치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즉 오늘의 가치는 미래로 환산하면 100+α로 가치가 더 명목적으로 늘어나게 되고요. 그리고 미래의 현금흐름을 현재로 되돌리려면 아마 100+α가 100으로 전환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명목적인 가치보다 작아지게 되죠. 이러한 관계를 현시점에 따른 현금흐름에 대해서 각각 현재가치 미래가치라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대부분의 의사결정의 시점은 현재이지요. 어떤 투자를 한다거나 어떤 자금 거래를 한다..
2022.06.23